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남가주 대학들 반전 시위 확산…UC어바인·리버사이드로 퍼져

남가주 지역 캠퍼스에 반전 시위가 확산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USC에서 시작된 반이스라엘 시위는 UCLA에 이어 다른 UC 캠퍼스로 퍼졌으며, 이후 주말을 기해 다른 사립대와 일부 커뮤니티 칼리지도 동참하는 중이다.     지역 언론들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현재 UC어바인, UC리버사이드 캠퍼스에서도 친팔레스타인 시위대가 등장했으며, 포모나칼리지, 패서디나 커뮤니티칼리지(PCC) 학생들도 시위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체포되는 학생 수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LA경찰국과 LA카운티셰리프국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일에만 포모나칼리지에서 25명, 캘폴리험볼트에서 35명이 연행됐다. 캘폴리 험볼트의 경우 시위대가 지난달 22일부터 건물 2곳을 점거한 시위대가 이날 경찰에 의해 해산됐으며, 해산 명령에 따르지 않는 시위대는 전원 체포됐다. USC에서는 앞서 93명의 학생이 경찰에 체포됐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미전역 캠퍼스에서 반전 시위로 체포된 규모가 1100명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시위 확산으로 학생들 간의 충돌도 증가하자 학교 당국도 조사에 착수했다.     UCLA는 시위대 일부가 수업 참여를 시도하는 학생들을 방해하고 가로막자 해당 시위대에 대해 정학 또는 퇴학 조치를 할 것임을 발표했다.     한편 반전 시위의 진앙인 컬럼비아 대학은 지난달 30일 자정을 기해 친팔레스타인 시위대가 학교 건물을 기습적으로 점거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 시위대는 전날 학교 측이 불법 시위를 벌이는 학생들에 대해 정학 처분을 내리자 이에 반발해 새벽을 틈타 학생처장실이 있는 ‘해밀턴 홀’ 건물을 점거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시위대는 잠겨 있는 홀 문의 유리창을 망치 등으로 깨고 건물 내부로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시위대 수십 명은 건물 입구를 의자, 테이블 등으로 막아 대치 중이며, 학교 당국은 해산 명령과 함께 불법 점거자들을 퇴학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이 건물은 초대 재무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의 이름을 딴 곳으로, 1968년 베트남전 반대 시위, 1972년 반전 시위 때도 점거당한 바 있다.     포틀랜드와 버지니아 대학 캠퍼스에서도 도서관 점거 등 과격한 시위가 계속되자 경찰을 동원해 캠퍼스를 폐쇄한 상태다.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 캠퍼스는 시위대가 학교 건물에 게양된 성조기를 끌어내린 후 바리케이드를 치고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학교 당국은 모든 수업을 취소하고 오늘(1일)까지 해산하지 않을 경우 경찰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연화 기자리버사이드 남가주 친팔레스타인 시위대 해당 시위대 이들 시위대

2024-04-30

UCLA서도 친팔레스타인 시위…USC 5월 10일 졸업식 취소

‘이스라엘-하마스전쟁’으로 촉발된 미국 대학가 친팔레스타인 시위가 날이 갈수록 확산되는 가운데, USC에 이어 UCLA 등 남가주 대학 캠퍼스에도 시위대가 등장했다.     UCLA에 따르면 25일 오전 4시부터 100여명의 시위대가 로이스홀 빌딩 앞 잔디밭에 20여 개의 텐트를 치고 ‘UCLA는 자유 팔레스타인을 말하라’ ‘점령당하면 저항은 정당하다’ 등의 구호가 적힌 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 시위대는 UC와 UCLA 학교 측에 이스라엘과 연계된 기업으로부터 UCLA 재단 기금을 모두 회수하고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즉각적인 휴전과 이스라엘 대학과의 유학 프로그램 중단과 UC와의 학업 보이콧을 요구하라고 촉구했다.     시위 주최자 중 한 명인 UCLA 학생 타이 민은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도 함께했다. 여기 모인 사람들은 지난 200일 동안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잘 알고 있다”며 “대량학살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위가 발생하자 UCLA는 즉각 로이스홀과 인근 파월 도서관의 접근을 제한시켰으며, 수업 등으로 건물에 입장하는 학생들에게 신분증 제시를 요구하고 있다.   UCLA는 또 성명을 내고 “대학의 최우선 순위는 브루인 커뮤니티 전체의 안전과 복지”라며 “상황을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커뮤니티의 자유로운 표현의 권리를 존중하고 평화로운 캠퍼스 환경을 지원하는 동시에 교수의 학습권 방해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UC샌타바버러 캠퍼스에서도 100여명의 학생이 모여 이스라엘-하마스의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북가주 UC버클리에서도 4일째 시위가 진행 중이며, 캘폴리험볼트 캠퍼스도 지난 22일부터 캠퍼스를 폐쇄하고 대면 수업을 모두 온라인 수업으로 변경했다.     한편 전날인 24일 캠퍼스에서 발생한 대규모 시위로 경찰이 동원되고 90여명이 체포된 USC는 결국 오는 5월 10일로 예정된 졸업식 행사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단, 5월 8일부터 11일까지 열리는 단과대학별 졸업식은 그대로 진행된다.   그러나 캠퍼스와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졸업식 관련 행사 참석자 규모는 제한한다. USC에 따르면 매년 졸업식 참석자 규모는 6만5000명에 달한다.     앞서 USC는 지난 15일 친 팔레스타인 성향의 무슬림 여학생의 졸업생 대표 연설을 안전상의 이유로 취소했다가 비난이 커지자 모든 외부 연사와 수상자들의 졸업 연설을 취소했다.   장연화 기자친팔레스타인 졸업식 대학가 친팔레스타인 이들 시위대 시위 주최자

2024-04-25

미·중 “군사대화 재개·펜타닐 단속”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조 바이든 대통령을 다시 만났다. 1년 만의 정상회담이다.   양국 정상은 15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가 열리는 샌프란시스코 인근 우드사이드에서 양국 주요 각료가 배석한 가운데 회담을 진행했다. 회담 시간은 약 4시간에 달했다.   이날 양국 정상은 관계 경색으로 그동안 단절됐던 군사 대화 채널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   바이든 정부 고위당국자는 바이든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양국이 ‘군대군(軍對軍) 대화’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매우 분명하게 요청했으며 중국이 제도화를 위한 조치를 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군사 대화 재개는 그동안 미국이 의도치 않은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해온 내용으로 대만해협과 남중국해 문제 등을 두고 줄곧 갈등하는 두 패권국 간 긴장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양국 간 최대 갈등 현안인 대만 문제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대만 문제는 항상 중미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문제”라며 “중국은 발리 회담에서 미국이 내놓은 긍정적인 태도를 중시한다”고 말했다.   미 고위당국자는 시 주석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중국이 수년간은 대만을 상대로 군사 행동을 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중국은 펜타닐 원료를 만드는 화학회사를 직접 단속하기로 했다. 그동안 미국 정부는 중국에 펜타닐 원료 유통 차단 등 협력을 요청해왔다.   양국 정상이 회담을 갖는 동안 중국계 커뮤니티의 반응은 엇갈렸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시 주석의 미국 방문을 환영하는 중국계 이민자들이 오성홍기를 들고 거리로 나오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중국 정부의 티베트 정책 등 인권 문제를 비난하는 반중 시위가 진행되기도 했다.     LA타임스도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시 주석을 만나는 것에 대해 엇갈린 감정을 갖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이미 양국 정상 회담이 열리기 전인 지난 12일부터 샌프란시스코 지역 엠바카데로 광장에는 아시아계 미국인 활동가들을 비롯한 수천 명이 몰려 “APEC 개최를 중단하라”고 외쳤다.   시위자들은 ‘독재자 시진핑, 당신의 시간은 끝났다’ ‘티베트를 해방하라’ 등의 문구가 담긴 대형 배너를 들며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중국인진보연합(CPA) 조이스 램 대표는 “지금 티베트 등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은 이곳의 중국계 미국인을 비롯한 아시아계 이미지 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며 “이곳에 있는 중국계들은 이번 회담에 매우 괴리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의 통제 정책도 비난의 대상이 됐다. 실제 LA타임스는 시진핑 주석의 미국 방문과 관련해 일부 아시아계 이민자들이 중국을 향한 언론 통제 등 비판적 발언을 이어갔지만, 자칫 향후 중국 방문 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이유로 실명 공개를 꺼렸다고 보도했다. 그만큼 중국 공산당 정부의 통제가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반면, 팬데믹 사태 이후 양국 간 무역 분쟁, 인권 문제 등으로 자꾸만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정상회담은 관계 회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에드 추(73·샌프란시스코)는 “트럼프 행정부는 당시 중국과 적대적 관계를 유지했는데 이번 회담은 무역 전쟁을 해소할 기회”라며 “이번 회담을 매우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계인 필 팅 가주하원의원(샌프란시스코)은 “중국에 대한 비난이 거세질수록 반아시안 혐오 정서 역시 더 커질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미국에서 아시안이 살아가는 게 더 힘들어질 것”이라며 자제를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퓨리서치센터가 최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아시아계 미국인 2명 중 1명(52%)은 중국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정상회담 미중 정상회담 이들 시위대 샌프란시스코 인근

2023-11-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